갑자기 목구멍이 아파요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 어떠한 질환으로 인해서 아픈 것이 아닐까 생각하여 검사를 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검사를 받아도 어떤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난감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자주 목구멍이 아파요 호소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로 호흡기에 문제가 생겨 목구멍이 아프다고 의심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혀 다른 부분에 문제로 인해서 불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목구멍이 아파요 하시는 분들은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단순히 며칠 목구멍이 따갑고, 아픈 것이 아니라 수개월 이상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경우 해당되는 질환입니다.
위식도 역류질환 중 하나로 우리나라 인구 중 10% 이상은 한 번쯤 증세를 경험했을 정도로 흔한 증상입니다.
그 때문에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문제인데요.
위에서 식도로 위산이 역류하게 되는 증상으로 식도에 염증이 생겨 목이 답답하기도 하고 이물감이 느껴지게 됩니다.
이 밖에도 증상은 다양합니다.
흉부 쪽에 위치한 가슴에서 작열감이 느껴지기도 하고 신물이 올라오거나 잦은 트림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또한 마른 기침이 자주 나오거나 목구멍에 무언가 걸린 것 처럼 답답하고 이물감이 발생합니다.
입냄새가 갑자기 심해지는 경우도 있고, 잇몸이 약해져 양치를 할 때마다 피가 나거나 쓰린 증상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일상 속에서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라 여겨 방치하게 되면 바렛 식도로 이어질 수 있고, 다른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으니 조기에 원인을 파악하여 치료를 진행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 이물감이 느껴지게 되면서 가래가 많이 생기는 것도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한방에서는 이를 매핵기라고 부르는데요.
매실의 씨앗과 같은 매핵이 목에 걸려있는 것 같은 느낌이라는 뜻 입니다.
인후부가 답답하면서 뱉거나 삼켜지지 않아 불편한 이물감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역시 역류로 인해서 발생되는 자극으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보통은, 목이 답답하면 호흡기 질환이라는 의심을 하게 됩니다.
호흡기관의 문제로 인해서도 불편함이 나타날 수 있지만 그에 못지 않게 의외로 위장 질환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것도 인지해주셔야 합니다.
우선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 일상 속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검사를 받게 됩니다.
위 내시경, 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검사를 진행하는데요.
다만 기능성 위장장애를 비롯한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 검사를 진행해도 원인이 발견되지 않고 특별한 문제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이처럼 검사를 받아도 드러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의원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떨어진 위장 기능을 다시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침과 뜸, 부항, 온열요법, 한약처방을 시행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기능성 질환들의 원인을 한방에서는 담적이 원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담적이 위장에 쌓이게 되면 위장과 대장, 자율신경계,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니 당장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보다는 망가진 위장과 대장 기능을 다시 회복시키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위장의 운동성을 다시 높여 소화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면 기존에 느껴졌던 증상 역시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 뿐 아니라 마지막 개선 방법으로는 식습관, 생활교육을 진행합니다.
체질에 맞지 않은 음식 섭취나 올바르지 않은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씀드립니다.
특히 너무 늦은 시간에 과식을 하거나 식사를 하고 난 뒤에 바로 눕는 습관은 위산이 역류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입니다.
꾸준히 진료를 받으면서 생활관리까지 병행해주신다면 이후 증상이 재발하는 것을 충분히 예방하실 수 있습니다.
'위장질환 > 담적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주 후 설사 무엇때문에 발생할까요? (0) | 2021.12.17 |
---|---|
소화불량 원인 알아보려면 어떻게 할까요? (0) | 2021.12.15 |
가스실금 방치하고 있나요? (0) | 2021.12.11 |
밥만 먹으면 설사 식사를 하는게 두려워요! (0) | 2021.12.08 |
위장병 증상 어떻게 개선할까요? (0) | 2021.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