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장질환/대장

변이안나올때는 이런 방법으로 해결해 보세요

by 미소담임 2023. 3. 27.

변이안나올때

 

변이안나올때 어떤 관리법을 사용하고 계신가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별다른 관리를 하지 않고

방치를 하고 계실 텐데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이라 여겨

참고 지내는 경우에도 별달리 완화되는 듯한

느낌이 들지 않는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또한 대부분의 분들이 어떠한 일에

신경을 쓴다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갑작스러운 복통이 생기게 되어

화장실만 찾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그 상태로 변을 보게 되면 괜찮지만

배만 아프고 변이안나올때는

원인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일시적으로 이러한 증상을 겪는다면

큰 문제는 아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계속해서

문제가 반복되는 경우에는

대장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변비란

 

변비는 볼일을 볼 때 무리하게

힘을 주어야 하거나 대변이 과도하게

딱딱하게 굳은 경우, 볼일을 봐도

시원하지 않고 남은 느낌인 경우,

원활한 배변을 위해서 부가적인

처치가 필요한 경우 등을 말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일주일에 횟수가

3번 미만이라면 변비라고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은 대장 내의 운동성 장애와

관련된 장애로, 대장 운동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해서 발생하는 증후군입니다.

 

 

이 증후군은 대장 내벽의 신경, 근육,

혹은 결합조직의 이상으로 인해

대장의 운동성이 강화되어 대장의

수축과 이완의 움직임이 불규칙해지고

이로 인해 복통, 변비, 설사,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담적 치료

 

담적은 소화되지 못한 음식물과

찌꺼기가 위장에 머물면서 독소를 내뿜고

그 독소로 인해 위장과 대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말합니다.

 

 

담적이 진행되고 있을 경우에

복진을 해보면 배에 딱딱한 부위가

관찰이 되곤 합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도 변비의 유형이 있고

한의학에서는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원인을

담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한의원에서는 담적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설진, 복진, 맥진 등의 여러 검사 방법과

상담을 통해 담적의 여부와 담적의 원인을

파악한 후 침 치료, 약침 치료, 뜸 치료,

부항 치료, 매선요법, 심부온열요법 등의

침구 치료와 농축담적약 등의 한방 치료로

담적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변이안나올때 해결방법

 

변이안나올때 변비가 있으신 분들은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변비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하루에 약 25~30g 정도의

식이섬유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물 마시는 습관입니다.

 

 

하루에 물을 1.5L 이상 마시면

변이 단단하게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필수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평소에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했다면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맵고, 짜고, 기름지고, 차가운 음식은

장에 자극을 줘서 경련 현상을

유발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